어스백 하우스(Earthbag House)

  글과 사진이 각기 따로 따로다.

글은 김성원씨가 지은 어스백하우스의 건축일기의 일부고...

사진은 외국 어스백빌딩 사이트에서 가져와 수리를 했다.

공부를 하려는 것이니 그냥 스크랩이다. 

 글 가져온 곳 : http://blog.daum.net/buckim/17947684

사진들 가져온 곳 : http://www.okokok.org/index.php

 김성원 씨의 어스백하우스 건축 노트


25평 어스백하우스를 짓는 데 20kg짜리 PP(PolyPropylene) 곡물부대 총 1,600개(장당 140~150원), 100m 철조망 약 30롤(1롤 13,000~15,000원)을 사용했다. 곡물부대와 철조망이 총 60여만 원 들었는데 여기에 인건비를 포함해도 300~400만 원 정도면 충분하다. 만약 흙벽돌을 쌓는다면 20평 정도 규모에 장당 3,000~4,000원 하는 벽돌 값만 1,000만 원 이상 들고 조적공 인건비를 합하면 벽을 쌓는 데만 최소 1,400~1,500만 원 든다.

 

어스백을 쌓은 후 내외부에 흙을 쳐 바르기를 하고 미장을 하니 벽 두께가 약 45~50cm 정도 되었다. 20kg보다 더 작은 크기의 부대를 사용해도 된다. 부대 크기가 클수록 흙을 담는 것도 힘들고 쌓는 것도 더 힘들다. 다음에 사랑채를 지을 때는 너비가 35cm 정도 되는 망사롤 부대나 PP롤 부대를 사용해볼 생각이다.

 

PP부대가 화학물질이라 환경적으로 꺼린다면 천연 마사(삼베)부대를 사용할 수 있다. 마사부대나 망사부대를 원할 경우나 롤 형태 혹은 특별한 규격을 구하고자 한다면 공장에 직접 주문한다. 코팅된 부대는 흙 건조를 막고 통기성이 안 좋으니 피하고 부대에 끈이나 자크가 달린 것을 사야 한다.

 

3월 14일 집터에 지하수를 파다.
3월 27일 밭이었던 땅의 경사지를 깎아 집터를 만들다.
5월 02일 ① 20㎏ 짜리 쌀부대에 흙을 담아 다지면서 벽체를 쌓다. 창 인방은 50㎝ 정도 두께의 나무를 사용.

note 흙부대로 벽체를 쌓으면 하루에 쌓을 수 있는 높이에 제한이 없다. 흙부대 안에 있는 흙이 굳도록 기다릴 필요가 없다는 말. 흙부대 건축의 번거로운 점은, 미장 시 흙이 PP 자루에 잘 붙지 않고 자루와 자루 사이에 골이 있어 이를 채우려면 두텁게 미장을 해야 한다. 미장 시 흙의 배합을 잘 못하면 금이 갈 수 있다. 그러나 석회와 모래로 마감미장 할 때 손쉽게 금을 잡을 수 있다. 또 흙부대로 쌓은 벽체는 깔끔한 수직면을 만들기가 쉽지 않다. 중력에 의해 흙부대가 옆으로 퍼지기 때문. 이 역시 이후 미장을 할 때 잡아주어야 한다. 미장은 일반 흙집과 마찬가지로 볏짚을 섞은 진흙이나 황토미장, 석회미장을 할 수 있다.

 

5월 02일 ② 벽체 각 줄마다 철조망과 쇠파이프를 박아 벽체를 고정하다. 믿기지 않겠지만 흙을 쌀부대에 담아 3미터 높이까지 벽체를 쌓았다. 3미터 높이에 올라서도 벽체는 튼튼.

note 흙부대를 한 줄씩 쌓고 그 사이에 철조망을 두 줄씩 깔면 별도로 접착 모르타르가 필요 없다. 철조망 작업은 어스백 건축의 핵심 작업으로 어스백 벽체의 횡력과 장력을 강화시켜주고, 미장 전까지 어스백이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벽체 전체를 일체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어스백 각 단마다 철조망을 까는 작업은 꽤 성가시다. 롤로 감겨있던 철조망은 배배 꼬이고 휘기 때문에 길게 펴서 깔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미리 벽체 길이보다 몇 미터씩 길게 잘라 한쪽은 나무에 한쪽은 경운기에 메달아 쫙쫙 펴놓고 작업했다. 가시때문에 종종 신발에 박히기도 하고 장갑을 뚫고 들어와 손이 찔리기도 한다.

 

5월 03일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철제 빔으로 구조체를 만들고 그 위에 10T 샌드위치 패널로 지붕을 올리다. 그리고 방수포를 깔고 다시 아스팔트 슁글을 붙여 지붕 마감.

note 바닥시공은 아래서부터 순서대로 비닐, 스티로폼, 메시, 엑셀파이프, 콩자갈, 숯, 석회, 모래와 시멘트 모르타르, 강화마루, 지붕시공은 순서대로 미송루버, 10T 스치로폼, 15T 샌드위치 패널, 방수포, 아스팔트 슁글로 시공했다. 집 안은 다시 스티로폼을 천장에 대고 미송 루버를 쳐서 마감.

 

5월 09일동네 동갑내기 형찬, 마을 이장, 윗집 이한 아저씨, 동네 어르신들이 모두 하루 울력(품앗이)으로 벽체 초벌 미장을 도왔다. 그리고 몇 주를 형찬과 나 그리고 광주대 학생들, 오래된 숲 회원들이 가끔 미장일을 도왔다. 진흙과 볏짚을 트렉터로 섞은 후 물 반죽을 해서 초벌칠을 했다. 1차 흙미장이 어느 정도 마르고 메시를 댄 후 석회-모래 반죽으로 2차 미장을 했다. 그리고 마감미장은 석회페인트(흰색물로 씻어내는 듯해서 화이트 워시(White Wash)라고도 함)를 만들어 수회에 걸쳐 칠.

 

 

 

 

 

 

 

 

 

 

 

 

 

 

  

 

 

 

 

 

  

 

 

 

 

 

Earthbag Building
The Tools, Tricks and Techniques
Hunter, Kaki/ Kiffmeyer, Donald 지음

Consortium Book Sales & Dist 펴냄

 Offers an approach to construction techniques for building with bags filled with earth, and discusses the many merits of earthbag construction.

국내에서 젤루 싸게 구입할 수 있는 곳 :

https://www.libro.co.kr/Product/ForeignDetail.libro?goods_id=0400002659853

어스백 하우스(Earthbag House)                    가져온 곳 : http://blog.daum.net/hera9457/15744296

모래주머니(Earthbag)

군대 참호 구축시 많이 사용하는 방법인 포대 자루 기법.

 

Earthbag이라고 하는 이 방식이 저에게 매력적인 이유는 바로 '지속가능성' 때문입니다.

사실 다른 생태주택에 비해 여러가지 기능성은 좀 떨어질 것으로 보여집니다.

단열 면에서는 볏짚 집보다는 아무래도 좀 약하겠지요.

 

하지만 이 공법이 요새 불고 있는 황토 주택 붐에 대한 대안이라고 봅니다.

사실 황토 흙집이 좋기는 하겠지만 그 황토가 집 주변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제대로 된 황토를 사겠다고 다른 지역의 산을 깎아 낸 것을 기름 써가면서 싣고 와서

건축을 한다는 게 결코 '생태적\'이지

않는 것 같거든요. 이 방식은 집 주변의 아무 흙이나 담아서 할 수 있으니까

그런 면에서 매우 생태적이라 할 수 있을 겁니다.

 

또한 다른 흙집 공법에 비해 비교적 쉽다는 거지요. 수직, 수평만 잘 맞추는 기술만 있다면

쌓아 올리는 데는 큰 기술이 없어도 되니까요.

 

저희 시골집에도 이 PP포대 많이 있거든요.

쥐가 쏠아서 구멍난 것들은 대부분 그냥 버리니까 그런 것들에다

흙담아서 하면 재활용으로도 충분히 지을 수 있는 집이겠지요.

 

 

저는 아래 사진을 보면서 (포대 자루끼리 잘 물고 있으라고 철조망을 중간에 2줄 깔아 주거든요.)

우리나라 38선 근처에다가 집을 지으면서 거기에서 나온 철골로 집 골조를 세우고 철조망을 잘라서

아래와 같이 이용하는 '평화의 집'을 한 번 지어보면 어떨까 라는 생각도 했습니다.

  

 

 

 

 

 

 

 

 

 

 

전남 장흥에 지어진 어스백 하우스(뼈대는 H빔으로 하고 지붕은 샌드위치 판넬을 얹었다.)

자칫 허접해 보일 수 있는 소재와 설계인데

집주인이 미대 출신이라 그런지 최종 마감과 창틀 등에 숨어있는 아이디어와 감각으로 집이 살아났다.

+ Recent posts